루커 스튜디오에서 하나의 컨트롤로 여러 소스의 차트 필터링하기

루커 스튜디오에서 제공하는 컨트롤


1. 필터링 기본 원리

A 데이터 소스의 스키마

B 데이터 소스의 스키마


좌: A 데이터 소스 / 우: B 데이터 소스


여기서 productName 필드는 좌측의 A 데이터 소스에만 있는 필드입니다. 이 드롭다운을 조작하면 어떻게 될까요? ‘품목1’를 선택하면 A 데이터 소스의 차트에만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좌: A 데이터 소스 / 우: B 데이터 소스


그럼 A 데이터 소스와 B 데이터 소스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customerName 필드를 필터링하면 어떻게 될까요? ‘거래처1’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두 데이터 소스의 차트가 동일하게 필터링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드의 이름을 직접 동일하게 수정해보면 어떻게 될까요? 루커 스튜디오 수정 화면에서 상단 메뉴의 ‘리소스’ → ‘추가된 데이터 소스 관리’ 메뉴에서는 필드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B 데이터 소스의 product필드를 A 데이터 소스와 동일하게 productName 으로 수정 후 드롭다운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해보겠습니다.

B 데이터 소스 필드명: product → productName 으로 수정


B 데이터 소스의 필드명을 product → productName으로 수정하였지만 productName 컨트롤은 B 데이터 소스의 차트에 영향을 주지 못함


💡구글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공식 문서를 참조하려면 아래 링크에 접속해보세요. 아래 공식 문서는 데이터 소스에서 컨트롤을 사용하는 원리와 방법을 소개합니다.













2. 계산된 필드의 필드 ID란?


데이터 소스가 다른 경우에도 스키마 구조가 동일하다면 하나의 컨트롤로 여러 데이터 소스를 필터링할 수 있다고 하였지요? 이것은 컴퓨터가 자체적으로 내부 필드 ID를 참조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하지만 여러 데이터 소스의 계산된 필드에 직접 필드 ID를 똑같이 명시해두면, 컴퓨터에게 어떤 필드를 동일하게 보아야 하는지 알려주는 것입니다. 필드 ID가 핵심인거죠.

이제 계산된 필드와 필드 ID를 사용해서 하나의 컨트롤로 여러 데이터 소스를 필터링 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데이터 소스가 서로 다른 2개의 차트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품목 필터를 추가해보겠습니다.


3. 필드ID를 동일하게 지정한 계산된 필드 추가

💡필드 ID가 불일치하면 필터링이 예상대로 작동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ID를 정의하기 위한 명확한 규칙을 세우고 일관되게 기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B 데이터 소스에도 동일하게 계산된 필드를 추가해주었습니다. 이제 두 데이터 소스에는 서로 참조하는 필드는 다르지만 필드ID가 동일한 필드가 존재합니다.

⚠️필드를 생성할 때 입력한 필드ID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컴퓨터는 최초로 입력한 필드 ID만 기억하기 때문에 필드 ID를 변경해야 한다면 필드를 다시 생성해야 합니다.



4. 컨트롤 추가

4-1. 드롭다운 목록

4-2. 버튼 컨트롤러




루커 스튜디오에서 연도, 월 필터링 버튼 추가하기



업무 효율성 200% 올리기, with autooffice

루커 스튜디오 개발 문의는 구글폼을 이용해주세요!

오토오피스 프로젝트 문의

Similar Posts